분류 유용한 정보<컴퓨터>/홈서버
작성일
Synology(시놀로지)에서 오픈소스로 공개한 자료(새창)를 사용해 제작된 Xpenology(헤놀로지)는 Synology NAS(시놀로지 나스)에서 사용하는 DSM 운영체제를 가정 또는 회사에서 사용하지 않는 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포스트는 Xpenology(헤놀로지)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1
Xpenology 설치 준비물
- 가정 또는 회사에서 사용하지 않는 PC 또는 Xpenology(헤놀로지) 구성을 위해 새로 구매한 PC
- 부팅이 가능한 64MB 이상의 USB 메모리 또는 CD/DVD
- USB 메모리에 부트 이미지를 적용하기 위한 Win32 Disk Imager
Win32DiskImager.zip
- Xpenology(헤놀로지)를 부팅하고 설치하기 위한 부트 이미지&DSM
http://xpenology.me/downloads/
https://download.xpenology.fr/
가정 또는 회사에서 사용하지 않는 PC에 Xpenology(헤놀로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단에 첨부한 회색 박스와 같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특히, 부팅이 가능한 USB 메모리는 Xpenology(헤놀로지)의 부팅을 위해 필요하므로 가능한 잘 사용하지 않는 USB 메모리를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팅이 가능한 64MB 이상의 USB 메모리 또는 CD/DVD
- USB 메모리에 부트 이미지를 적용하기 위한 Win32 Disk Imager

- Xpenology(헤놀로지)를 부팅하고 설치하기 위한 부트 이미지&DSM


Xpenology 부트 이미지 및 DSM 다운로드


Xpenology 부트 이미지를 USB 메모리에 저장하기
부트 이미지가 저장된 USB 메모리로 Xpenology 부팅하기
Xpenology 찾고 DSM 설치하기
Xpenology 설치 후 설정 단계
#1. 관리자 계정 생성
DSM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할 관리자 계정 생성 과정은 내 네트워크 환경 등에서 보여줄 서버 이름과 DSM등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과정입니다. 참고로, DSM을 모두 설치한 후 제어판 → 사용자 메뉴를 통해 관리자/사용자 계정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는 관리자 권한 1개만 추가합니다. 4
#2. DSM 업데이트 설정
Xpenology(헤놀로지)에서는 Synology(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업데이트는 호환성 문제로 인해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DSM 업데이트 설정 과정에서는 'DSM 업데이트를 다운로드하지만 설치 여부 알림'을 선택한 후 [다음 단계]로 버튼을 누릅니다. 참고로, 업데이트는 번거롭더라도 Xpenology(헤놀로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PET 파일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참고로, 일부 업데이트는 부트 이미지도 함께 변경되어야 합니다)
#3. QuickConnect 설정
Xpenology(헤놀로지)는 Synology(시놀로지)의 정품 NAS 장치를 구매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QuickConnect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음 버튼 아래에 있는 [이 단계 건너뛰기]를 눌러 QuickConnect 설정 과정을 무시하고 넘어갑니다. 참고로, CloudStation은 QuickConnect를 사용하지 않아도 이곳(새창)에서 제공하는 내용을 참고하여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Xpenology 설치 후 접속하기
Xpenology(헤놀로지)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자동으로 DSM 로그인 페이지(myip:5000)로 이동하며 앞서 생성한 관리자 계정을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DSM에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면 귀하의 PC에 Xpenology(헤놀로지)가 정상적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입니다.
Xpenology 관련 글 확인하기
▣ Xpenology 기본 사용 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2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3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5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8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DNS 서비스 사용하는 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WebDAV 기능 사용하는 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전원관리 이용하여 절전하기
· Xpenology(헤놀로지) 사용기
· Xpenology(헤놀로지) 외부접속 설정하기
▣ 멀티미디어 및 기능 관련
· Xpenology(헤놀로지) DNLA 기능 사용하는 방법
· Synology Video Station을 위한 AC3/DTS 코덱 패키지
· Xpenology(헤놀로지) 업로드 전용 폴더&계정 만드는 방법
· LG U+tv G에 DSVideo를 설치&사용하는 방법 (for 안드로이드 셋톱박스)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2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3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5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8 설치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DDNS 서비스 사용하는 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WebDAV 기능 사용하는 방법
· Xpenology(헤놀로지) 전원관리 이용하여 절전하기
· Xpenology(헤놀로지) 사용기
· Xpenology(헤놀로지) 외부접속 설정하기
▣ 멀티미디어 및 기능 관련
· Xpenology(헤놀로지) DNLA 기능 사용하는 방법
· Synology Video Station을 위한 AC3/DTS 코덱 패키지
· Xpenology(헤놀로지) 업로드 전용 폴더&계정 만드는 방법
· LG U+tv G에 DSVideo를 설치&사용하는 방법 (for 안드로이드 셋톱박스)
'유용한 정보<컴퓨터> > 홈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2 설치방법 (4) | 2015.12.30 |
---|---|
Xpenology(헤놀로지) 외부접속 설정하기 (9) | 2015.12.29 |
Synology Video Station을 위한 AC3/DTS 코덱 패키지 (9) | 2015.12.15 |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설치방법 (12) | 2015.12.15 |
DNSEver, DNS 서비스 부분 유료화 (0) | 2014.03.27 |
동아리 파일서버 3.00 (0) | 2012.02.21 |
Apache 웹서버 최적화 (0) | 2011.12.30 |
지금 헤놀로지 5644를 사용중입니다.
그런데 오늘보니 부팅파일인가? 그게 5644.4로 업데이트 된거 같은데 뭔 차이가 있나요?
Xpenology.me 홈페이지에 가보시면 변화사항이 작성되어 있으니 참고해보셔요~ 아마도 5644.1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은 5644.4로 해결된 것 같아보이네요
주요사항
•!!! Possible iSCSI issues with this build !!!
•Fix latest 5644 pat issue
•Fix broadcom issues (add missing firmwares)
•Add Marvell 88SE9485 support on ASUS P9A-I boards
•Add USB to LAN adapter 10/100/1000 support for asix and realtek (r8152/r8153) chips
•Fix black/blank screen at boot with nvidia cards
•Disable old crappy realtek r8169 module, update r8101 / r8168 / r8169 driver
끝.
아래에 '답변일듯'님께서 답변을 해주셨네요~^^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죄송한데... 해놀로지 적용과정시 어느정도의 컴사양이 되야할까요?
일전에 2009년도에 구입한 삼성 컴퓨터(AMD Athlon 64 X2 Dual-Core Processor 4600+ AM2, 3GB DDR2 메모리)를 사용하는 컴퓨터에 Xpenology(헤놀로지)를 설치하여 사용해보았는데 특별히 느리다거나 하는 것은 느끼지 못했습니다.
단, DLNA을 이용하는 경우 트랜스코딩이 필요한데 이 경우에는 아무래도 저전력CPU는 피하여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보다는 헤놀로지 포럼( http://xpenology.com/forum/ )으로 질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헤놀로지 포럼에는 한국어로 질의가능합니다.)
usb로 부팅디스크를 만들었는데 용량이 4기가짜리가 32메가짜리로 바껴버렸네요
그래서 dsm 이미지를usb에 넣지를 못하는데
이거 어떻게 해야하나요;;
부팅USB로 만드시면 용량이 32MB로 변경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DSM 이미지는 USB에 넣지 않아도 됩니다... 본문의 내용을 다시 정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업데이트 시에... 현재 사용중인 usb의 부트로더를 삭제해준 뒤에 다시 설치해주어야 한다는 건가요 ..?
그렇게 되면 기존 장치의 정보나 설정이 유실되지 않을까 우려되어서 여쭈어봅니다.
네, 알고 계신대로가 맞습니다.
예를 들어서 DSM 5967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부트로더를 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부트로더가 해당 DSM에 대응할 수 없는 버전이라면 정상적인 DSM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 http://www.jnstory.net/2707
해놀로지가 mac os에서도 가동이 가능한가요??
질문하신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ㅠㅠ
DSM 6.2를 설치하고 나서 접속이안되서 검색하다보니 NIC(랜카드)인식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하여 포기하고 5.2를 깔았습니다.정말 감사합니다.
사진관리를 모멘트와 포토스테이션 두가지 조합으로 많이 쓰시는거 같은데요. 모멘츠가 패키지에 없네요. DSM(OS)는 자동업데이트하면 안되는걸로 아는데..패키지는 자동업데이트 해도 괜찮을까요? 헤놀리지 시리얼 넘버같은걸 수정하지 않고 설치한거라..업데이트하면 안될거 같기도 하고요.^^ 알고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