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유용한 정보<휴대폰>/애플리케이션
작성일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은 CPU, RAM, GPU, I/O등을 스마트폰에서 직접 작동한 후 점수로 사용자에게 성능을 안내해주며, 자신의 기기와 다른 기기의 성능을 쉽고 간편하게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점수는 숫자놀음에 불과할 수 있지만, 자신의 스마트폰이 어느정도의 성능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Quadrant Standard Edition
AnTuTu 벤치마크
GFXBench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
필자를 비롯한 많은 사용자분들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하드웨어 성능이 어느정도인지 알고 싶어합니다.필자가 소개한 3개의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외에도 다양한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이 있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잘 알려진 Quadrant Standard Edition, AnTuTu 벤치마크를 이용하여 하드웨어 성능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 HTC를 비롯한 일부 스마트폰 제조사에서는 배터리 사용시간, 발열등을 이유로 임의적으로 하드웨어의 성능을 조절하고 있지만 잘 알려진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만 실행하면 성능을 최대한 극대화하여 점수를 인위적으로 올려 사용자를 유혹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에서 보여지는 점수는 진짜 점수가 아니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2013년 08월, 삼성전자는 삼성 갤럭시S4에 삽입한 벤치마크 부스터로 인해서 곤혹을 치룬이후 자사의 블로그(삼성 투모로우)를 통해서 이에 관련된 해명글을 제시하였으나 사용자들의 논란은 계속되고 있으며, 삼성 갤럭시S4 이후에 출시된 삼성 갤럭시노트3, 삼성 갤럭시라운드등의 스마트폰에는 여전히 벤치마크 부스터가 동작하고 있다는 것 입니다. 삼성에서는 자신들이 의도하지 않은 것이라고 하지만 누가봐도 삼성전자에서 의도하고 넣은 것 입니다.
과거의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도 단순한 숫자놀음에 불과했었지만, 제조사에 따라서 하드웨어 스펙의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대충 어느정도의 성능인지 가늠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금보다는 신뢰도가 높았지만, 최근에는 제조사들이 동일한 CPU, RAM, GPU, I/O등을 적용하여 하드웨어 스펙의 평준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사실상 성능의 차이도 크지 않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예로 LTE-A를 지원하는 모든 스마트폰들이 퀄컴 스냅드레곤 800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듯이 말입니다.)
결론만 요약하자면,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은 단순히 재미로만 이용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필자가 사용중인 삼성 갤럭시노트3의 경우에도 LG G2와 유사한 스펙을 갖추고 있지만, 벤치마크 부스터가 적용되지 않는 GFXBench에서는 점수가 LG G2보다 낮게 나오는 경우도 있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용한 정보<휴대폰> >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통화 앱을 소개합니다! (2) | 2014.01.08 |
---|---|
아틀란3D (업데이트없이 항상 최신지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0) | 2013.12.29 |
생활 속 유용한 공공기관앱! (2) | 2013.12.24 |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 모음 (내 스마트폰은 어느정도의 성능일까?) (4) | 2013.12.17 |
Galaxy Hidden Settings (갤럭시 스마트폰의 숨은 기능을 편리하게 활성화하세요!) (4) | 2013.12.09 |
아이폰트 3.8.2 (루팅없이 스마트폰의 글꼴을 변경하세요!) (84) | 2013.12.09 |
앱 매니저 (스마트폰에 설치된 APK파일을 간편하게 백업하세요!) (4) | 2013.11.06 |
갤노트3가 상위권이네요ㅋㅋ
벤치마크는 환경등의 여러가지 요소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필자의 경우에는 넥서스5, G2의 경우가 갤럭시노트3보다 더 높게 나타더라구요... 원인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좋은정보네요ㅎㅎ
노트2도 점수 괜찮게 나온듯..ㅋ.ㅋ
노트2도 배터리 막강에 성능이 괜찮은 스마트폰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솔직히,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을 돌리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자기만족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