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포스트는 KTOA 스마트초이스 홈페이지에 지난 2014년 08월 25일 게시된 게시물의 링크로 대체합니다.
전자파 등급제란 무엇인가요?

전자파 등급제란 무엇인가요? (PC 페이지) 전자파 등급제란 무엇인가요? (모바일 페이지)
미래창조과학부는 오는 8월 1일부터 모든 휴대전화, 이동통신 기지국 등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설비에 부여받은 전자파 등급 또는 전자파 흡수율 측정값을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에서 표시하여 판매하도록 하였습니다. 전자파 등급제의 필요성은 무엇이고, 어떤 제도인지 이 글을 통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전자파 등급제의 필요성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RAC)에서 발표한 발암물질 등급 | ||
1 등급 | 암을 일으켰다고 확인된 물질 | 담배, 석면, 벤젠, 콜타르 등 88종 |
2A 등급 | 암을 일으킨다고 추정되는 물질 | 자동차, 디젤엔진 매연, 무기 납 화물 등 64종 |
2B 등급 |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 | 휴대전화, 극저자푸 자기장, 커피, 젓갈 등 236종 |
3 등급 | 인체 발암성으로 분류할 수 없음 | 카페인, 콜레스테롤, 석탄재, 잉크 등 496종 |
4 등급 | 인체에서 발암성의 증거가 없음 | 카프로락탐(나일론 원료) 1종 |
지난 2011년 05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RAC)는 휴대전화와 극저주파 자기장을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하였습니다. 일부 연구소에서는 휴대전화에서 사용하는 전자파는 인체에 열을 발생시킬 정도로 강하지 않으며 암/백혈병 및 다른 질병을 발병시키거나 촉진한다는 확증이 없기 때문에 안심하고 사용해도 된다는 입장을 보이지만, 국내에서는 휴대전화와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자파가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소비자들의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의 주도하에 세계 최초로 전자파 등급제를 도입․시행하게 되었습니다.
• 이 포스트에서는 전체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있지 않습니다. 전체적인 내용은 상단 회색 박스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 작성한 원고에 문제가 있는 경우 언제든지 댓글 또는 이메일(jns1350@hanmail.net)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 이 포스트는 (사)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로부터 소정의 원고료를 받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