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이동통신사 3사(SK텔레콤, Olleh KT, LG U+)에서는 기존의 LTE에 비해서 속도가 향상된 모바일 네트워크인 광대역 LTE(새창)와 LTE-A(새창)를 상용화하고 서울과 수도권을 시작으로 2014년 4분기중에 전국망 구축이 완료될 예정입니다. 광대역 LTE와 LTE-A는 3G에서 LTE로 변경되는 것과 다르게 별도의 표시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내가 기본 LTE 망을 사용중인지, 광대역 LTE 또는 LTE-A 망을 사용중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많이 답답하실 듯 합니다. 이 포스트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디버그 모드(혹은, 서비스 모드)를 통해서 사용중인 망을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태블릿에서 내가 사용중인 망을 확인하는 방법



LTE 및 LTE-A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스마트폰/태블릿에서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123456#(또는 *1232580#)을 입력하시면 자동으로 Debug mode(디버그 모드)로 이동합니다.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에 따라서 표시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상단에 첨부한 스크린샷으로 대신합니다. 현재는 삼성전자, LG전자,팬텍의 스마트폰만 이 방법으로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애플 아이폰에서 내가 사용중인 망을 확인하는 방법



LTE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아이폰/아이패드에서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3001#12345#*을 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Filed Test(필드 테스트)로 이동하며, Service Cell Info 영역을 확인하시면 대역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기 첨부된 스크린샷에서도 설명하고 있듯이 Download Bandwidth에서 20Mhz로 표시되어 되었는경우 광대역LTE를 사용중이고, 10Mhz라고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반 LTE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